분류 전체보기 12

TYPE FORM 타입폼 환불 여정

결제는 간편하게, 환불은 복잡하게 또는 해당 기능을 덜 만들어 둔 타입폼, Typeform 그 덕분에 부족한 영어실력으로 환불 요청 이메일을 보내게 됐다. 스페인 서비스 운영자에게 보내진 불쌍한 한국인의 이메일 한 통, - 환불 요청 한 줄 요약 - 환불해 줘야만 하는 3가지 이유 - 구구절절 그리고 24시간 안에 받은 회신 "환불해 줄게-!" 환불 가능한 이유도 강조해서 알려줬다. 이후 2-3주 뒤 최종 환불 완료까지 확인했다. 아찔했지만, 잘 해결했다. 휴.. - 이번 문제를 꼭 해결해서, 글로 남기고 싶었다. 혹시라도 나중에 비슷한 문제를 겪게 될 누군가 있다면, 차분히 이메일로 해결하면 된다는 경험1이 되고 싶었다. (당시에는 구글링해도 안 나와서 불안했다..) 뭐, 서비스가 하루빨리 환불 기능을..

경험(수동형). 2022.06.29

UX STUDY11 | kakaopay 카카오페이 1

서비스 | kakaopay 카카오페이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했어요! 풍부한 혜택으로 N페이의 선호가 높다고 하지만, 높은 접근성으로 나도 모르게 사용하고 있는 결제수단은 카카오페이 아닐까? 생각했다. 혜택보다도 기능으로 “WOW!”를 외치게 한 카카오페이의 몇 가지 포인트를 정리해 봤다. WOW 포인트! (카카오톡안에서 송금을 중심으로) 1. 1/N 더치페이할 때, 애매하게 남는 돈은 우리가 낼게요! 2. 말하기 껄끄러운 부분, 서비스가 대신 말해줄게요! 3. 혹시! 오프라인에서 받았다면, 수동으로 정산완료 가능해요! 이런 부분 좋아요! 1. 1/N 더치페이할 때, 애매하게 남는 돈은 우리가 낼게요! WOW! 외치며 꼭 분석해 보고 싶게 만든 ‘카카오페이가 쏜다’ 친구들이랑 더치페이 할 때 1/N이..

관심. 2022.01.10

UX STUDY10 | KREAM | 리셀플랫폼

서비스_주제 | KREAM(크림)_리셀플랫폼 리셀(Re-sell)은 쓰던 물건을 재판매하는 중고 거래를 뜻한다. 오늘 다룰 리셀 플랫폼의 조금 차이가 있다면, '희소성'을 지닌 상품을 거래하는 플랫폼으로 기존의 중고거래와는 조금 다르다. 거래 품목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나이키 한정판 운동화부터 명품 그리고 스타벅스 굿즈까지 다양하다. ​ 리셀의 희소성은 재테크로 이어진다. 희소성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매 욕구는 단순히 트렌드에 반응하기보다, 나를 표현하는 수단으로도 연결된다. 이 때문에 리셀은 재테크 시장을 형성한다. - 리셀재테크 LIST : 나이키/조던/LP/레고... 리셀의 시장규모는? 국내 5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지 않은 것 같은데 왜 대..

관심. 2021.12.05

UX STUDY9 | 접근성

서비스_주제 | 접근성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은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 의무사항이다. 이런 이유로 궁금했어요! 프로젝트 QA를 진행하며, 버튼에 의도치 않은 테두리가 있었다. 원인은 "접근성" 시각장애인을 위해 필요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부끄러웠다. 인지하지 못했다. 스스로 전체 디자인을 담당하며 접근성을 생각하며 만들었는가? 라는 의구심이 스쳐갔다. (이제보니 disable버튼의 텍스트가 잘 보이지 않는 것 같다.) 테두리는 뺄 수 있었지만 접근성을 위해 유지하기로 했다. 늘 생각하는 좋은 서비스의 기준은 "디지털소외계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나이스한 디자인도 중요..

관심. 2021.11.07

UX STUDY8 | 오늘회

서비스 | 오늘회 ​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 : 오늘회에 '선택넛지 | 악마는 디테일이다'가 곳곳에 보였다. '회'라는 특수한 제품을 다루기 위해, 사용자의 상황을 밀도있게 고민하여 만든 메뉴/기능/정보제공 등이 있었다. 어떻게 오늘회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지 살펴보았다. ​ 포인트 | 공감된 포인트 + 좋았던 점 1. 첫 구매 고객 서비스에 스며들게 하기 2. 사용자 구매패턴 잘알 2-1. 묶어서 주문하기 2-2. 고객이 고민할, 총 가격 서비스가 알려주기 3. 사용자 구매여정 잘알 3-1. 특수한 제품인 만큼 사용 시간에 맞는 세분화된 배송 시간 제공 3-2. 배송일자 선택으로 주문 오류 줄이기 이런 부분 좋음! ​ 1. 첫 구매 고객 서비스에 스며들게 하기 오늘회는 처음 온 고객이 서비스..

관심. 2021.10.24

UX STUDY7 | TRAVEL-TECH

서비스 | Travel Tech 마이리얼트립 : 2012년 시작한 여행 예약 플랫폼 트리플 : 2017년 시작한 여행 원스톱 플랫폼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 겉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점이 분명한 두 서비스의 경험을 분석해 보았다. 서비스의 첫인상을 만드는 홈 화면에서부터 두 서비스는 달랐다. ​ 마이리얼트립은 여행 전 필요한 예약 상품들 '우리 서비스에 이-만큼이나 많이 있어요' 라고 말하는 여행 커머스 서비스 같았다. 트리플은 첫 화면에서 상품 노출 전, 다소 많은 메뉴/카테고리가 보였는데 아마도 '우리 서비스에서 여행에 필요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어요' 라고 말하는 여행 원스톱 서비스 같았다. 어떤 부분에서 이런 가치가 느껴졌지? ​ 마이리얼트립 | 여행에 필요한 상품들 우리가 연..

관심. 2021.10.24

UX STUDY6 | TRIPLE 트리플 / SOCIAL PROOF

서비스 | 트리플 : 2017년 시작한 여행 원스톱 플랫폼 주제 | SOCIAL PROOF : 다른 사람들이 제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사용하고 만족했음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모든 콘텐츠 → 이러한 콘텐츠를 통해, 대중의 생각에 동조되어 그것이 옳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현상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 : 여행 플랫폼 트리플은 어떻게 소셜프루프를 서비스에 녹여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포인트 | 공감된 포인트 + 좋았던 점 1. 숫자로 표현한 소셜프루프 2. 다양한 형태의 소셜프루프 3. 리뷰를 타고 들어가다보면 얼추 정리가 되는 여행루트 + 공유일정담기 4. 짧은 공백이 생길 때 요청하는 ‘앱 평가 팝업’ 5. 쉽게 친구 초대하고 일정 함께 짜기 6. 여행지 중간에 들를 곳 찾기 이런 부분 좋음! 1. 숫..

관심. 2021.10.10

UX STUDY5 | (NO)DEAD END

주제 | (NO)DEAD END Dead End : 서비스 경험이 종료되는 것. 이런 이유로 궁금함! | Dead End를 마켓컬리 이용 중 실제로 접해보니, 다른 서비스들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쿠폰 경험 위주로 Dead End/NO Dead End를 정리해 봤다. Dead end 이런 이유로 아쉬움. 1. 마켓컬리 | 마켓컬리 카테고리 쿠폰은 사용조건 보여주기로 경험이 종료되는데, 관련 카테고리 상품으로 넘어갈 수 있다면 좋았을 텐데... 아쉬웠다. 2. 코오롱몰 | 코오롱몰 쿠폰은 적용 브랜드가 쿠폰마다 각각 다른데? 쿠폰 브랜드 네이밍을 나열하는 것에서 경험이 종료되었다. 이마저도 네이밍이 모두 영어로 나열된다는 점/작은 텍스트 크기와 많은 텍스트를 과연 사용자가 한 번에 인지하고 관심..

관심. 2021.10.04

UX STUDY4 | 29CM 29센치

서비스 | 29CM 29센치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 : 29CM의 홈 카테고리를 집중적으로 둘러보며 느낀 점은 오프라인 큐레이션하면 츠타야가 떠오르듯, 온라인 큐레이션은 29CM! 라는 생각이 들었다. 포인트 | 공감된 포인트! 1. 소비의 가치를 높여주는 콘텐츠와 상품 큐레이션 2. 사용자의 구매 여정을 고려한 큐레이션 3. '절대 놓치지 않겠어’ | +태그, OO님의 관심브랜드 로 카테고리 확장해서 제안 SSAP가능 4. 같은 제품도 다른 제안처럼 각각의 의미를 담아서 제안 5. 상품의 단점도 매력으로 바꾸는 UX writing 이런 부분 좋음! 1. 소비의 가치를 높여주는 콘텐츠와 상품 큐레이션 29CM는 콘텐츠+커머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후기 콘텐츠보단 '이 상품이 당신에게 어..

관심. 2021.09.25

UX STUDY2 | ZARA 자라

서비스 | ZARA 자라 : 스페인의 패션 SPA 브랜드의 앱 서비스 ​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 : 한 권의 패션 매거진을 보는 듯한 경험을 주는 유일무이한 패션 서비스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게한 서비스였다. ​ 포인트 | 공감된 포인트! 1. SPA브랜드인 만큼 많은 신상 옷을 보여주기 위한 3가지 레이아웃 시스템 2. FANCY함을 살려주는 타이포그래피 & 타이포 위주의 앱디자인 3. 지속 가능한 패션 철학을 비중있게 전달하기 위한 메뉴와 콘텐츠 기획 및 구성 이런 부분 좋음! ​ 1. 마치 패션 매거진 한 권을 보는 경험 이런 점은 감각적인 사진이 주는 영향도 있지만, 상단 스크롤로 조정되는 3가지 레이아웃 시스템의 영향도 크다고 생각한다. ZARA는 3가지 레이아웃을 제공하고 있는데 1)..

관심. 2021.09.21